2025년은 주식투자가 참 어려운 해입니다. 미국은 트럼프 정권이 열리면서 관세정책과 인플레이션으로 주식시장이 흔들리고 있고, 우리나라는 정치적 불안정과 경제성장 둔화, 달러환율 급등으로 주식시장이 영 좋지 않습니다.
이렇게 투자처를 찾기 쉽지 않을 때, 많이 찾는 것이 ETF인데요. 2025년 1-3월까지 어떤 ETF가 수익률이 좋았는지, 그리고 어떤 ETF로 자금이 많이 유입되었는지 등 몇 가지 기준으로 ETF상품을 살펴봤습니다. 투자하시는 데 참고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목차
2025년 수익률 기준 3가지 테마
☑️ 1. K방산 ETF
2025년 1월-3월까지 수익률 기준 ETF Top1위-5위까지 모두 방산관련 ETF가 차지했습니다. 사실 '우주항공'가 상품명에 들어가는 ETF도 실제로는 방산 관련 기업들이 많다고 보시면 되니, 10위에 있는 PLUS 우주항공&UAM ETF도 방산관련 ETF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ETF는 5개나 되지만, 구성종목은 거의 유사합니다. 아래 기업들이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K9자주포
- 현대로템: K2전차
- 한화오션
- 한국항공우주: FA-50 경전투기
- 한화시스템
- LIN넥스원
보시면 아시겠지만, 이번 한화그룹의 다수 기업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개인적으론 한화계열사들이 이번 정권에서 가장 수혜를 받은 기업 중 하나라고 생각하는데요. 최근 K방산이 주목받은 몇 가지 주요 배경은 아래와 같습니다.
2022년 2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시작된 이후로 우리나라 K방산 수출액이 급격히 증가했습니다. 특히 이번 정권 초반에 방산산업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있었는데요. 2024년 K방산 매출액은 200억 달러를 예상했으나, 폴란드와 70억 달러 규모의 K9전차 2차 계약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규모가 확 줄었습니다.
2025년 초반에 K방산 관련주들의 주가가 급증했는데요. 일단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되는 가운데, 미국이 더 이상 우크라이나에 군사 지원을 하지 않겠다고 발표하면서 유럽 주요국가들이 재무장 계획들을 발표하면서 K방산 관련주들도 수혜를 예상하면서 주가가 많이 올랐습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론 K방산 인기가 2025년 하반기부터 줄어들거라 생각하는데요. 그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 우리나라 K방산 주력제품들은 K2전차나 K9자주포 등 주로 재래식 무기입니다. 재래식 무기에 한해서는 우리나라 기업들의 제품들이 경쟁력이 있으나, 이런 재래식 무기에 대한 수요가 우리나라 기업들에게 수혜를 주진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서유럽에서 재래식 무기를 잘 만드는 기업들이 많아 우선 유럽 위주로 수요가 해소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 윤석열 정권에서는 K방산산업을 국책산업으로 많은 지원이 있었습니다만, 현재 탄핵정국 이후로는 방산산업에 힘을 실어주지 못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건 탄핵여부와 상관없이 결과적으론 같은 현상이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 유럽 주요국가들이 예전보다 많은 방위비를 예산책정한 것은 사실이나, 책정된 예산을 모두 집행할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집행이 되더라도 우리나라 기업들의 우선순위는 많이 낮을 것으로 보입니다.
- 연초에 K방산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너무 높아져서 고평가 구간에 접어들었습니다. 현재 주가를 납득할 수 있는 수준으로 매출이 발생할 가능성은 낮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관련 기업들에 투자하려면 조정시기를 기다려야 할거라 생각합니다.
위와 같은 이유로 K방산 관련 ETF는 그렇게 투자가치가 높아보이지 않는데요. 제가 개인적으로 K방산 투자에 관심을 가졌던 시기는 2023년 중반이었습니다. 이제는 K방산 투자를 정리해야 할 시점이라 생각합니다. 물론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 2. 금 투자 ETF
2025년 1~3월 수익률 Top10 ETF 중 7위와 8위를 금 투자 ETF가 차지했습니다. 'ACE 골드선물 레버리지(합성H)'ETF는 2배 레버리지 상품으로 수익률 37.44%를 기록했으며, HANARO 글로벌금채굴기업 ETF는 33.30%를 기록했습니다.
금 가격이 지속 상승하는 시기에는 일반적으로 금 채굴 기업들의 주가가 더 많이 오릅니다. 실제로 글로벌금채굴기업 ETF는 레버리지 상품이 아닌데도 ACE 골드선물 레버리지(합성H) ETF에 준하는 수익률을 냈습니다.
중요한 것은 향후 금 가격이 어떻게 될 것인지에 대한 예측인데요. 일단 2024년부터 금 가격이 계속 상승한 데에는 아래와 같은 요인들이 있었습니다.
- 지정학적 리스크: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중동 분쟁 지속으로 안전자산 수요 증가
- 통화 정책: 연준(Fed)의 금리 인하 예상으로 실질 금리가 하락하면서 금 매력 증대
- 중앙은행 매입: 중국·신흥국 중앙은행의 외환 다변화 추진으로 공공 수요 확대
- 인플레이션: 미국 관세 강화·무역 갈등으로 물가 상승 압력 지속
위 4가지 요인들은 개인적으론 2025년 하반기에도 큰 변동이 없을 것이라 생각하여 2025년 하반기에도 금 관련 ETF 주가는 조금 더 상승여력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작년부터 금 가격도 많이 상승한터라 상승폭이 아주 크진 않을거라 생각하는데, 이런 부분은 참고로 봐 주시기 바랍니다.
☑️ 3. 중국 투자 ETF
수익률 6위와 9위는 중국기업에 투자하는 ETF들이 차지했는데요. 6위는 TIGER 차이나항셍테크레버리지(합성H) ETF상품으로 수익률 38.43%, 9위는 KODEX 차이나H레버리지(H) ETF로 수익률은 32.28%입니다.
최근 3~4년동안 중국기업에 투자하는 ETF성과가 정말 좋지 못했는데요. 2025년 중국투자 ETF성과가 좋아진 것은 아래와 같은 요인들이 있습니다.
- 대규모 경기 부양 정책
- 중국 정부의 3조 위안(약 600조 원) 특별 국채 발행으로 유동성 공급 확대
- 부동산 시장 안정화(대형 개발사 지원) 및 내수 소비 촉진 정책(가전·전기차 보조금 등) 추진
- 통화 정책 완화
- 금리 인하 및 유동성 확대로 기업 자금 조달 환경 개선, 주식 시장 유입 자금 증가
- 산업별 정책 수혜
- 반도체·AI·로봇 등 첨단 제조업과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대한 집중 투자
- 국방·우주 산업 등 국산화 테마 주식 강세
- 펀더멘털 개선
- 4년 만에 부동산 시장 바닥 확인 및 기업 ROE(자기자본이익률) 반등 전망.
- 해외 투자자들의 과도한 할인 평가 정상화 움직임.
- 외부 환경 변화
- 미중 무역 갈등 완화 기대(트럼프 2기 부분적 합리적 조율 가능성)
- 신흥국 증시에서 중국 배제 전략 후퇴로 자본 유입 증가
기본적으로 중국기업들의 성과는 정부 정책과 부동산 시장경기에 큰 영향을 받습니다. 일단 중국 정부가 오랜 만에 대규모 부양정책으로 경기를 부양하고 있고, 각종 규제들을 완화하고 있어서 중국 기업들의 주가가 상승했는데요.
문제는 중국의 고질적 문제인 부동산이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중국의 부동산 문제는 워낙 복잡한 사안이라 이 포스트로 다 설명할 수 없습니다만,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는 많은 시간과 자본, 그리고 정치적 변화가 필요할거라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지금 상황에서 중국 투자를 시작하는 것은 큰 변동성과 리스크를 감안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개인적인 의견이므로 내용은 참고만 하시길 부탁 드립니다.
2025년 자금유입 기준 테마들
☑️ 1. 머니마켓액티브

2025년 1월~3월 순자금유입 기준 1위는 'KODEX 머니마켓액티브' ETF입니다. 이 상품은 2024년 8월에 상장되었는데 1년도 되지 않아서 4조 원이나 되는 운용자금을 모았습니다.
이 상풍은 초단기 안정자산인 국채(31.3%), 양도성예금증서(CD·29.7%), 기업어음(CP·24.5%) 등 듀레이션 0.1~0.3년의 단기 채권에 투자를 집중하여 연 3.73%~3.75%의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합니다. 거기다 연 보수가 0.0050%로 매우 저렴해서 일종의 파킹통장 역할을 하는 상품인데요.
이 상품에 많은 돈이 몰린 것은, 그만큼 많은 분들이 현재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해서 일단 안정적으로 돈을 굴리면서 투자처를 찾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본의 70%이상이 기관투자자들입니다만, 개인들도 현금관리용으로 많이 이용하는 상품이라 관심있는 분들은 한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 2. 미국 주식시장 인덱스 펀드들
자금유입 기준 다른 대부분 ETF들은 미국 S&P500이나 나스닥 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 펀드들입니다. 이건 올해만 특별히 자금이 많이 유입되었다고 볼 순 없고, 아마도 많은 분들이 미국 주식시장 인덱스 펀드를 ISA나 연금계좌에서 투자하기 위해서 위와 같은 상품들을 선택하신거라 생각하는데요.
올해는 트럼프 관세정책의 불안정성과 미국의 인플레이션 재상승 우려로 주식시장이 좋지 않은 상황인데요. 연초에 있었던 하락장은 다시 재반등할 가능성이 높으나, 상반기 끝 무렵이나 하반기 시작 무렵에는 꽤 큰 조정장이 있을거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미국 주식시장이 인덱스 펀드 투자처로 좋은 곳이라는 점은 저도 공감하지만, 2025년은 투자시점도 꽤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미국 주식시장 인덱스 펀드 투자를 고려하고 있는 분들이라면, 조금 더 시기적인 측면을 검토해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물론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 3. 그 외 상품들
그 외에도 ACE KRX금현물 ETF와 ACE 테슬라벨류체인액티브 ETF가 순위권에 있습니다.
개인적으론 ACE KRX금현물 ETF가 금투자를 고려하는 분들께 좋은 옵션이 된다고 생각하여, 하반기에도 금가격이 계속 상승할거라 생각하는 분들은 한번 검토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테슬라는 상황이 많이 복잡한데요. 일단 트럼프의 관세정책이 테슬라에겐 많이 불리한 상황입니다. 유럽에서 보복 관세 등으로 대응할 경우, 테슬라 매출에 직접적인 타격이 있을테고, 미국 내 매출도 중간재 수입물가 상승으로 가격 상승요인이 없지 않기 때문입니다.
일단 트럼프가 전기차에 대해서 그렇게 좋지 않은 인식을 가지고 있으므로, 2025년 테슬라 매출에 긍정적인 요인으론 작용하지 않을 것 같은데요. 1분기 실적이 어떻게 나오는지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더불어 트럼프 관세정책이 곧 구체화될 예정이라 이에 따라서도 테슬라 주가에 큰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테슬라가 3월 초 대비로는 많이 반등했습니다만, 반등추세를 계속 이어갈 수 있을지는 아직 확신하기 어렵습니다. 분명 일론 머스크와 트럼프 관계를 고려했을 때 테슬라가 얻는 잇점들이 있습니다만, 과거와는 테슬라 투자에 확실히 난이도가 생겼습니다.
3월 초에 저도 테슬라가 과도하게 떨어졌다고 생각해서 투자를 고려했습니다만, 지금 시점은 조금 더 관망해야 할 것 같다고 생각하는데요. 이것도 개인적인 의견이므로 참고만 해 주시기 바랍니다.
마무리
과거 데이터를 가지고 미래를 예측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특히 수익률 상위, 유입자본 상위 ETF목록들은 시기를 놓친 투자흔적들을 찾는 느낌이라 상위권 데이터를 보고 투자를 결정하는 것은 한계가 있는데요.
그래도 어떤 ETF상품들이 있는지, 그리고 최근 수익률이 좋아지는 상품은 무엇인지, 어떤 산업군 실적이 좋았는지, 어떤 곳들을 피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서 여러가지 인사이트를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ETF CHECK
ETF CHECK 에서 국내외 상장되어 있는 ETF, ETN의 모든 정보를 확인해보세요.
www.etfcheck.co.kr
'개별주식 혹은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 20% 준다는 고배당 커버드콜 ETF, 제대로 알고 투자해야 하는 상품! (0) | 2025.03.29 |
---|---|
인텔(INTC)은 부활할까? 아니면 매각될까? (향후 주가전망 포함) (1) | 2025.03.17 |
미국 투자 거장들은 왜 쿠팡에 투자하고 있을까? (1) | 2025.03.10 |
2024년 4분기 엔비디아 매출 급증과 향후 주가전망 (1) | 2025.02.27 |
삼양식품 주가는 날아가는데 농심 주가는 왜 안 오를까? (1) | 2025.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