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은 일본의 공적연금에 이어 글로벌 2위의 연기금 투자규모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해외주식 투자비중은 2024년 3분기 기준 약 35%이며 점차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당연히 해외주식 중에선 미국주식 비중이 가장 높습니다.
이번 포스트는 국민연금의 미국주식 투자 포트폴리오를 확인하는 방법들을 정리했습니다. 데이터 확인방법에 따라 장단점이 있으니 잘 참고하셔서 본인에게 필요한 정보를 찾고 투자에 잘 참고하시길 바라겠습니다.
목차
방법1: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 데이터 확인
☑️ 운용성과
국민연금의 운용성과는 매달 말에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 웹사이트 기금공시 게시판을 통해서 보고됩니다. 가장 최근 보고내역은 2024년 12월 말에 보고된 2024년 10월 보고서인데요.
보시는 것처럼 기금공시 게시판 > 월간 공시 게시판에 자산군별 포트폴리오 운용 현황과 수익률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마도 규정 상 2개월 전 운용성과만 공개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게시판 링크를 아래에 추가해 두었습니다.
알림 > 기금공시 > 기금공시 게시판 > 월간 공시 > 목록보기
공시 게시판의 목적은 연금가입자 및 수급자, 관계자 여러분들이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가 공시하는 모든 항목들을 한 곳에서 편리하게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단, 국민연금기금운용지침
fund.nps.or.kr
등록된 보고서에서 확인한 해외주식 수익률입니다. 2024년 1~10월까지 운용성과를 연간 수익률로 환산한 잠정치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와 기술주 중심의 꾸준한 강세, 그리고 원달러 환율의 상승으로 해외주식 수익률이 좋았다고 해석하고 있습니다.
☑️ 투자종목 포트폴리오
국민연금의 연도 말 기준 투자 자산군별 세부내역은 국민연금 운용지침에 따라서 다음 해 3분기에 공시합니다. 따라서, 2024년 말 기준 해외주식 투자종목 포트폴리오는 2025년 3분기가 되어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단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 웹사이트에서 확인되는 투자종목 포트폴리오는 2023년 말 기준 데이터입니다.
보시는 것처럼 해외주식은 미국주식만 있는 게 아니고, 전체 해외주식 중에서 미국주식은 66.7%를 차지합니다. 이것도 2023년 말 기준 구성이라 사실 현재 시점에선 참고하기 애매한 부분이 있습니다.
2023년 말에도 상위 10개 종목은 모두 미국주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Top10 총 비중은 약 15%정도로 보이는데, 운용자산이 크고 워낙 장기투자를 기본으로 운용되는 자금이라 좀 더 최근 종목 포트폴리오를 알 수 있다면 투자에 참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아래 사이트를 통해서 해외주식 전체 포트폴리오를 확인할 수 있는데, 관심있는 분들을 위해 공유 드립니다. 말씀드린 것처럼 2023년 말 기준의 데이터임을 꼭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운용현황 > 투자현황 > 해외주식
국민연금은 투자 다변화의 일환으로 해외에 개설된 증권시장 상장 주권 등을 대상으로 해외주식 투자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직접투자의 경우 사전에 투자가능 종목 Pool을 구성하여 그 범위 안
fund.nps.or.kr
방법2: 미국 13F 보고서를 통해 미국주식 포트폴리오만 확인
☑️ 13F 보고서란?
국민연금의 미국주식 포트폴리오만 알고 싶다면, 13F 보고서를 통해서 좀 더 최근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3F 보고서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하는 공식 문서로, 1억 달러 (약 1,400억 원) 이상의 자산을 운용하는 기관투자자들이 의무적으로 제출해야 하는 보고서입니다.
국민연금은 해외주식에 300~400조 원을 운용하는 대형 기관투자자이고, 미국주식에 투자하려면 13F보고서를 내야 하는데요. 이걸 볼 수 있는 사이트에서 국민연금의 미국주식 위주의 포트폴리오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3F 보고서는 SEC에서 전문을 볼 수도 있지만 보통 13F보고서 데이터를 반영한 웹사이트에서 데이터를 확인하기도 합니다.
단, 13F 보고서를 보실 때에도 주의하실 점이 있습니다.
- 시간 지연:13F 보고서는 분기 종료 후 45일 이내에 제출되므로, 최대 105일 정도의 시차가 반영된 데이터일 수 있습니다. 13F를 통해 확인하는 포트폴리오도 최대 약 3개월 이전에 투자된 데이터일 수 있음을 감안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 불완전한 정보: 13F보고서는 현금 보유량, 사모펀드, 헤지펀드 투자, 미국주식 외 다른 해외주식을 포함하지 않습니다. 때문에 13F로 확인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는 완전한 정보가 아닙니다.
- 의도적인 지연: 대부분 기관투자자들은 투자 포트폴리오나 투자전략을 노출하고 싶지 않아, 최대한 늦게 13F보고서를 제출합니다. 때문에 우리가 확인하는 13F 포트폴리오는 3개월 이전 투자상황을 반영한 데이터일 수 있습니다.
정리한 내용은 국민연금이 아니어도 모든 13F 보고서에 공통적으로 해당되는 정보이니, 다른 미국 투자기관 13F 보고서를 보실 일이 있더라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국민연금 13F 보고서 확인
NATIONAL PENSION SERVICE Top 13F Holdings - WhaleWisdom.com
whalewisdom.com
링크한 사이트는 whalewisdom.com으로 직역하면 대형 투자기관들의 13F 보고서를 확인할 수 있는 유명한 웹사이트입니다. 직역하면 '고래의 지혜' 정도가 될 것 같은데, 많은 돈을 운영하는 투자기관들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빗대어 하는 표현 중 하나입니다.
국민연금공단은 영어로 'National Pension Service'로 표시합니다. 위에 공유한 링크는 국민연금공단 페이지로 바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만, 혹시 이 사이트에 직접 접속하실 경우, 위에 알려드린 국민연금공단의 영문이름으로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현재 마지막 13F보고서는 2024년 3분기 데이터이며, 국민연금의 미국주식 포트폴리오 자산가치는 약 1,000억 달러 (우리 돈으로 143조 원) 정도가 됩니다. 보시는 것처럼 총자산 가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이건 최근 미국 주식시장이 워낙 좋았던 영향이 클 것으로 보입니다.
2024년 3분기에 Top Buy, Top Sell, Top Holdings 3가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요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Top Buys: 브로드컴, 애플, 테슬라, 메타, 유나이티드헬스 5개 종목을 가장 많이 매수했습니다. 운용자산규모가 크기 때문에 1%정도로도 매우 큰 금액입니다만, 국민연금은 매우 많은 종목을 포트폴리오로 구성/운영하고 있으므로 개별종목 각각보단 어떤 섹터 종목들을 많이 샀는지 참고하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Top Sells: 램리서치, 블랙락, 슈퍼마이크로컴퓨터, 마이크로칩, 씨게이트와 같은 종목들을 많이 매도했습니다. Top매도종목들은 모두 1%이하라 큰 의미를 부여하기 좀 어려울 것 같습니다.
Top Holdings는 아래에 별도 Top10 보유종목으로 따로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 Top10 보유종목
2024년 3분기 기준 국민연금이 보유한 미국주식 Top10입니다. 참고할만한 주요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 상위 10개 종목의 총 비중 합계가 30%이상입니다. 꽤 큰 비중이라, 상위 10개 보유종목의 변화는 투자에 참고할만한 정보라 생각합니다.
- PBUS(Invesco MSCI USA ETF)와 IVV(iShares Core S&P500 ETF), LLY(일라이릴리) 3개 종목을 제외하면, 나머지 종목들을 모두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미국 기술 대기업들입니다.
- 10개 종목 모두 평균 매입단가(예상치)가 현재 가격보다 낮아 꽤 오래전부터 장기투자를 했을거라 짐작할 수 있습니다.
- 애플을 제외한 나머지 종목은 모두 전분기 대비 비중이 감소했습니다. 이렇게 비중만 보면 상위10개 종목 보유량 중 일부를 매도했을거라 생각할 수 있습니다만, 실제로는 대부분 종목에 대한 주식수를 늘였습니다. 다만, 전체 포트폴리오 가치가 증가하면서 보유비중이 낮아지는 것처럼 보이는 착시효과가 있습니다.
정리하면 2024년 3분기까지 국민연금에서는 미국주식 포트폴리오를 계속 확장하고 있었으며, 기술주 위주로 투자성과가 좋았던 것으로 보입니다. 해당 웹사이트를 직접 방문해서 신규편입, 청산종목 등의 다른 정보를 확인하시면 좀 더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주식투자 아이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가 투자 거장들은 어떤 AI종목에 투자할까? (엔비디아 빼고) (1) | 2025.02.19 |
---|---|
일본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과 엔화 투자 전략 (0) | 2025.01.20 |
2025년 미국주식 전망 - 성장은 계속된다는 의견 (0) | 2025.01.18 |
트럼프 취임과 달러환율, 미국주식을 정리할 시간 (1) | 2025.01.12 |
반도체 게임 체인저, 유리기판과 관련기업 알아보기 (0) | 2025.01.11 |